적금 세금우대로 가입하는 방법 (농협 준조합원)

Last modified date

농협 비과세 정기적금

비과세 적금을 든다는 것이 일반인에게는 거의 불가능한 일처럼 느껴지는데요. 이번에 1억 모으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첫번째로 선납이연 적금을 들어보자는 글을 포스팅했습니다. 그러면서 조건이 적합한 적금을 알아보던 중 금리도 높은데 심지어 비과세가 가능한 적금까지 찾게되었습니다. 너무나도 신나는 마음으로 소개를 해드리러 바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농축협 비과세 적금

농협 비과세 정기적금

제가 알아보니 농협은 농협은행이 있고 농축협이 따로 있습니다. 저는 단순히 가깝다는 이유로 지나가다가 본 농협을 검색해 보았는데요. 농축협의 경우가 이율도 높고 특판 상품도 지역별로 다양하게 진행중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한  선납이연이 가능한 적금을 전화로 문의했습니다. 그 결과 농협 “정기적금”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제게는 가장 혜택이 좋은 것으로 보여서 저는 가입 예정에 있습니다. 예정인 이유는 온라인으로 진행하지 않고 직접 방문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금리를 조회하는 부분에서 제가 거래할 지점을 입력하니 해당 지점의 이자가 나옵니다.  인터넷 뱅킹을 이용 할 경우 추가 금리 우대 혜택이 있어서 저는 총 5.1%의 이율을 받네요. 100만원씩 적금을 들 경우 330,530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비과세 vs 표준과세

산술 적으로는 33만원의 이자를 받는 것이 맞지만 이제 세금을 따져볼까요? 

  • 농협은 1인당 3천만원 한도로 세금우대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만 19세 이상이어야 하며 준조합원으로 가입을 해야합니다.
  • 혜택은 원래는 15.4%가 부과되어야 하지만 세금 우대상품은 1.4%의 농특세만 부과되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 적금의 이자과세는 15.4%로 총 51,051원이 세금으로 나가게 됩니다. 하지만 세금 우대는 무려 4,641원만 내면 됩니다.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게 되었습니다.

적금 면에서만 따져 본 혜택 들이었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준조합원으로 가입하는 방법과 혜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